본문 바로가기
문화시설소개

흥선대원군의 사가 운현궁

by 데이지s 2021. 8. 27.
728x90

흥선대원군의 사가 운현궁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1898), 고종의 아버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의 사가인 운현궁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에 위치한 운현궁은 서울특별시 사적 제257호로서 조선조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잠저(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이며 흥선대원군의 사저(개인이 살림하는 집)이며, 한국 근대사의 유적 중에서 대원군의 정치활동의 근거지로서 유서가 아주 깊은 곳입니다. 흥선군 이하응이 왕실 집권을 실현시킨 산실이자 집권 이후 대원군의 위치에서 왕도정치로의 개혁의지를 단행한 곳입니다. 대원군이 권력에서 하야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정치적인 영향력을 내외에 행사한 곳으로써 고종이 즉위하기 전까지 살았던 잠저였기 때문에 역사적인 상징성이 더욱 큽니다. 흥성군의 사저가 운현궁으로 불리게 된 것은 1863년 12월 9일 흥선군을 흥선대원군으로, 부인 민씨를 부대부인으로 작호를 주는 교지가 내려진 때부터입니다.

고종이 12살까지 살았던 운현궁은 철종 때 옛 관상감 터였던 운현궁에 왕기가 있다는 내용의 민요가 항간에 유행하였으며, 고종이 등극한 후 대원군이 운현궁 터를 다시 확장하였습니다. 운현(雲峴)이란 당시 서운관 앞에 있는 고개 이름이었으며, 서운관은 세조때 관상감으로 개칭되었으나 별호로 그대로 통용되었답니다. 서운관의 명칭인 운관과 운관 앞의 고개를 가리키는 운현이라는 명칭이 그대로 사용되었던 것이죠.

고종의 잠저는 당시 대왕대비 교지를 받들어 영의정 김좌근, 도승지 민치상, 기사관 박해철,김병익 등 일행이 명복(明福, 고종의 이름)에게 익종의 대통을 계승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종을 맞이하러 최상급의 가마 행렬을 갖추어 관현의 흥선군 사저에 갔을 때, 흥선군의 위엄 있는 자세와 그의 둘째 아들인 명복의 천진스러웠던 모습에 대한 사실적 묘사에서 운현궁이 고종의 잠저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일 강제병합 후 일제는 1912년 토지조사를 실시하면서 대한제국의 황실 재산을 몰수하여 국유화하고 이왕직 장관을 시켜서 운현궁을 관리하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운현궁을 유지, 관리하는 일은 소유권에 관계없이 이로당의 안주인들이 계속 맡아서 했습니다. 운현궁의 소유권이 다시 대원군의 후손에게 넘겨지게 된 것은 1948년 미군정청의 공문에 의해서였는데요, 이후 그 소유권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정부와 대원군 후손 사이에 법적 공방이 있었으나 그 해 9월 21일 결국 대원군의 5대손 이청 씨에게 운현궁 소유권이 확정되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1991년 운현궁을 유지, 관리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생기면서 이청 씨가 양도 의사를 밝힘에 따라 서울시에서 매입하게 되었고, 1993년 12월부터 보수공사를 시작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된 것입니다.

오늘은 흥선대원군 사가인 운현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월요일 휴무를 제외한 매일 9시부터 18시까지 운영하고 있다고 하니 기억해두셨다가 한 번 방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대한민국의 문화시설에 대해 꾸준히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출처 : 서울특별시

 

 

 

 

 

 

728x90

댓글